퇴근 안내 음악이 나오고 한두 분씩 "내일뵈요~" 라고 인사하고 퇴근할때
SM 파트에 있는 저는 전혀 기쁘지가 않죠.
오늘 수정한 소스를 운영서버로 수동배치 해놓고 재부팅 해야 하는데 그 시스템을 아직도 쓰는 분들이 있거든요..
그때 문득 "아! 이런걸 자동으로 해주는게 분명이 있었지!!" 라는 생각이 들어서 외부망 다 막힌 환경에서 열심히 아이폰으로 검색했네요.
이 작업 스케줄러는 윈도우와 리눅스(유닉스는 물론이고 macOS에서도 터미널로 사용가능함 mac이 유닉스 기반이자나...) 환경에 모두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crontab이라는 이름으로 터미널 환경에서 명령어 입력해서 사용가능하고
윈도우에는 '작업스케줄러'라는 이름으로 검색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rontab이 옵션도 다양하고 터미널 환경이어서 저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만
실제 SM환경이면 거의 윈도우 서버일테니 작업 스케줄러를 정리하겠습니다.
작업 스케줄러 찾는 위치
1. 제어판 > 관리 도구 > 작업 스케줄러
2. 윈도우 키 + Q 혹은 실행 창 실행 후 '작업 스케줄러' 입력
찾으셨으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뜰겁니다.
윈도우는 환경설정이 거의 다 GUI로 되어 있죠.
그러므로 몇번 클릭클릭하면 다 됩니다.
근데!! 다 왔더니 프로그램을 지정하라고 나오네요..? 명령 몇개 해야 되는데..?
그럴때 사용하는게 바로 .bat 파일 입니다. 배치 파일이죠.
이 배치 파일은 윈도우 커맨드라인 명령들을 저장한 텍스트 파일입니다.
이걸 작성해서 실행하면 작성한 내용을 라인 단위로 읽어서 커맨드라인에 입력-실행해주죠.
저같은 경우는 오늘 수동배포할 파일이 한개라서 간단히 이런 식으로 짰네요
copy c:\xxxxx\xxxxxx\대기목록\abcdClass.class c:\프로젝트폴더\WEB-INF\classes\xxx\xxxx\xxx\abcdClass.class
sc stop "Tomcat7"
sc start "Tomcat7"
첫째줄은 파일 복사 명령이고 아래 두줄은 tomcat 서비스 껏다 켜라 입니다
참 쉽죠~? (구닥다리 환경이라 ant도 maven도 없어........ㅠㅠ)
배치 파일 작성하는 방법은 dos 명령어 검색해셔서 쭉 작성하시는걸 기본으로 해서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정확히는 배치 스크립트 언어하고 dos 명령어를 같이 쓰는 형식이고, 라인 실행하다가 스크립트 문장 나오면 그에따라 실행 라인이 제어되는 방식입니다. 이부분은 구글신에 검색하면 많이 나옵니다~
이제 배치파일 작성했으니 스케줄러를 등록해보죠!
1. 작업 스케줄러 메인 화면 우측에서 "기본 작업 만들기..." 를 클릭합니다.
2. 작업의 이름과 설명을 입력합니다. '다음'을 클릭합니다.
3. "작업을 언제시작하시겠습니까?" 라는 질문에 원하시는대로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3-1. 위에서 매일/매주/매월/한번 중에 하나를 선택하셨으면 작동시점을 지정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지정하시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4. 어떤 동작을 사용하시겠냐고 묻는데, 배치 작업 지정할거니까 바로 '다음'을 클릭합니다.
5. 아까 봤던 화면이죠? 찾아보기 버튼 클릭해서 작성하신 배치파일 등록하고 다음 누르시면 됩니다.
6. 위에서부터 쭉 작성한 내용이 정리되서 나옵니다. 확인하시고 이상없으면 마침 누르시면 됩니다.
7. 등록한 작업 스케줄은 메인화면 좌측의 '작업 스케줄러 라이브러리'를 클릭하면 표시됩니다.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이상으로 작업 스케줄러 정리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