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gular CLI 1편은 프로젝트 영역 생성 및 실행 방법에 대한 표스트였습니다.
이어서 2편은 CLI환경에서 프로젝트 안에 여러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1편의 셋팅을 그대로 이어서 하겠습니다.
프로젝트 안에서 컴포넌트를 구성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ng generate <type> <name>
또는 ng g <type> <name>
입니다. 같은 명령어인데 타이핑만 다를 뿐이라 저를 포함한 대부분이 후자를 입력하시겠네요.
Angular 안에서 적용가능한 컴포넌트 타입은 Component, Directive, Pipe, Service, Class, Guard, Interface, Enum, Module 이 있습니다.
실행해서 결과를 보겠습니다.
우선 모듈을 하나 만들고 그 안에 컴포넌트를 두개 만들었으며,
하나의 컴포넌트에는 interface, enum, directive, class를 만들고, 다른 하나에는 service, pipe, guard를 만들었습니다.
이런 방식은 제가 즉석에서 만든거라 실제 서비스할때 이런식으로 하면 당연히 큰일나겠죠;;
주는 component 또는 module에 class/enum/directive/interface를 혼합하고
service/pipe는 module/component 외의 영역에 생성하는 게 맞을거 같네요.
이 부분은 저도 경력이 그렇게 풍부하지 않기 때문에 뭐라고 말씀을 못드리겠네요.
일단 저 명령을 쓰면 저런식으로 파일이 생성되는구나 정도로만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그 외의 Angular CLI 관련 정보는 https://github.com/angular/angular-cli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eb 개발 (업데이트 없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gular 기본 구조 이해 #1 (0) | 2018.10.28 |
---|---|
Angular 프로젝트 파일 구성 (0) | 2018.10.28 |
Angular CLI 로 Angular 환경 셋팅하기 #1 (0) | 2018.10.28 |
MongoDB 계정 설정 및 인증 절차 (0) | 2018.10.28 |
MongoDB 네트워크 및 옵션 설정 (0) | 2018.10.28 |